한국펫소매협회 "무차별 대기업의 펫산업 진입 막아야"

신혜정 / 기사작성 : 2017-12-29 09:21:19
  • -
  • +
  • 인쇄
홍익표 국회의원 만나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 협조 요청
한국펫소매협회는 지난 11일 더불어민주당 홍의표 의원 국회사무실을 방문해 했다.(사진 오른쪽부터 이기재 회장, 윤석민 입법비서관, 김성일 상근 이사)[사진=펫소매협회]

펫소매업 사업자들의 모임인 한국펫소매협회(회장 이기재, 이하 펫소매협회)가 펫산업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을 받아내기 위한 본격적 활동에 나선다.


지난 11일 협회는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국회의원 사무실과 동반성장위원회 등을 방문해 협회의 입장을 전달하고 '지정' 협조를 요청했다.


이기재 회장은 홍익표 의원의 입법기서관을 만나 "상당수 대기업이 이미 펫산업에 뛰어들거나 확장하기 위해 TF팀까지 만들어 준비 중"이라며 "골목상권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이 회장은 골목상권의 주 업종이었던 제과점, 커피숍 등이 대기업에 밀려나 사라지고 그 자리에 대형 프렌차이즈가 자리 잡을 것을 예시로 들며 "적합업종 지정이 안 될 경우 제2의, 제3의 생계형적합업종 피해가 불가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또 "(펫소매업의)직접 관계자만 3500명 이상 추산되는 펫소매인들의 생존을 지키기 위해 본격적인 대응활동을 시작하지 않을 수 없다"며 "협회는 올해 적합업종 지정에 사활을 걸고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윤석민 입법비서관은 이와 관련해 "대기업의 무차별한 상권 확장으로 인한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피해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우리는 이들 예상 업종의 적합업종 지정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우원식 더민주 원내대표도 오는 2월 임시국회와 관련해 "우선적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생계형 적합 업종 법제화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펫산업 등 중소기업적합업종 추진 관련한 움직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펫이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