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에서 천재지변시 반려동물과 함께 대피소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여러방법이 진행되고 있다.[사진=asahi.com] |
지진, 호우 등 천재지변이 발생해 안전을 위협받는다 해도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대피소 이동을 포기한다. 대피소에 반려동물을 데리고 가면 동물을 싫어하는 다른 이재민과 마찰이 생기기 때문이다.
반려동물로 키우는 개와 고양이가 2000마리가 넘는 일본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큰 재해마다 매번 화두가 되고 있다. 어떻게 다른 이재민과 공생하고 동물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까?
일본 아사히 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의 오후나토 중학교 체육관 구석에는 파이프 의자와 골판지 상자로 나눠진 곳이 있다. 반려견과 함께하는 재해민을 위한 공간이다. 이는 반려동물에 대한 민원이 눈에 띄게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대피소 자치 조직의 설명이다.
니아누마 요시히코(46)씨는 치와와 '차차'와 함께 이 보호소에서 지내고 있다. 쓰나미가 집을 덮치기 전 아내 치카코(47)씨가 집에서 건진 건 위패와 애완견 차차 뿐이었다.
그는 "동물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아이가 없는 우리 부부에겐 (차차가) 자식과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관외에 강아지용 케이지가 만들어졌지만 반려견과 떨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꺼리는 게 실정이다.
오후나토시 북초등학교 대피소에선 동물 출입을 금지했다. 이 곳에서 생활 중인 사토 세이코(57)씨는 "대피소에 사람이 많고 공기가 나쁘기 때문에 동물을 출입시키기 말라고 했다"며 그럼에도 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있어 알레르기를 가진 2살 손자의 건강이 걱정이라고 전했다.
이렇다보니 반려동물과 함께 있기 위해 대피소에서 생활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쓰나미가 덮친 후쿠시마현 나미에마치의 이시가미 노리히사(27)씨는 12일부터 3살 된 보더콜리 바론과 함께 대피소 주차장 자동차 안에서 생활하고 있다. 다른 재해민에게 폐가 될까 걱정되기 때문이다. 그녀는 보급된 빵과 주먹밥을 바론과 함께 나눠 먹으며 생활하고 있다.
지난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당시 애완견을 대피소로 데려가지 못하고 차 안에서 생활하던 한 여성이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으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치단체와 수의사회는 반려동물 보호와 치료에 대한 협정을 맺기 위해 여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와테현 수의사회는 한신 대지진과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을 계기로 재해 시 반려동물을 구하기 위해 2008년 봄 현과 협정을 맺었다. 동일본 대지진 대피소에 수의사를 파견하고 주인과 대피소 운영자를 상담하거나 반려동물을 넣어놓을 수 있는 케이지를 지급하는 등의 활동을 시작했다.
미야기현 수의사도 마찬가지로 현과 협정을 맺어 현 내 9개소에서 수의사가 무료건강 진단이나 부상치료에 임하고 있는가 하면 보건소와 함께 약 20마리 유기견을 구조했다.
센다이시 수의사회는 3월중 시와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었지만 조기 실시했다. 시내 동물병원에서 이재민이 키울 수 없게 되거나 주인이 없는 반려동물 40여마리를 보호하고 130마리의 반려동물 실종신고를 접수받았다.
이와테현 수의사회 타다 히로시 부회장은 "재해로 가족, 친지 등이 모두 피해를 입은 사례도 많아 대피소 생활이 장기화되거나 반려동물 위탁시설이 없는 등의 문제가 다수 발생해 사람과 반려동물의 공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 지원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히로시마시의 비영리단체 '고양이 고아 구조대'의 사사키 히로루미(42)씨는 13일부터 재해지역을 다니며 센사이시에서 유기견과 유기묘 총 5마리를 데려왔다.
그는 "민간단체에는 한계가 있다. 일본에는 동물 애호법이 있고 자치단체는 재해시 구호 매뉴얼도 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것을 실행할 때다"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펫이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ET ISSUE
서울시, '2025 제2회 동물행복 페스타' 개최...10월 18~...
장현순 / 25.08.25
PET MEDICAL
청담우리동물병원 365일 진료후기(101) 강아지 식도이물제거
윤병국 수의사 / 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