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의학 발전에 따른 반려동물의 수명 연장및 삶의 질 개선. [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
하지만 여전히 반려동물이 수명이 거의 다했을 때, 즉 아파서 회복이 안되는것처럼 보인다든지 기력이 ᄄᅠᆯ어져서 잠만 자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든지, 혹은 보호자가 보기에 인제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보다 하는 단정을 하고 아이의 활력증진에 노력을 안해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우리 사랑스러운 개와고양이는 나이가 들어도 다시 보호자랑 즐겁게 산책을 함께하며 어릴때처럼 장난도 치고 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우리 보호자가 할 것은 조금만 더 도와주면 된다. 그 도움을 간절히 바라고 있을지 모른다 . 정말 치료가 필요한 경우라면 수의사의 수의학적인 의료지식과 약물, 처치, 의료기기의 도움이 필요하겠지만,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 활동성 저하, 근력저하등의 퇴행성 문제라면 충분히 다시 재활을 할수 있는 여지가 많은 것이다 안해서 그렇지.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물리치료. 재활치료이다. 사람도 어깨가 아프거나 근력이 떨어지거나 운동의 가동범위가 줄어들면 활동도 잘 안하게 되지 않는가? 노령견도마찬가지이다. 이때 필요한게 바로 옆에서 그 가동범위를 크게 할수 있게 도와주는 물리치료, 재활치료이다. 처음에는 싫어할수 있고 아플수 있지만 결국에는 긍정적인방향으로 사랑스러운 반려견의 삶의 질을 올려줄수 있을 것이다.
물리치료 재활치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사람의 수영 수중치료같은 ▲ 수중런닝머신 ▲ 레이저치료 ▲ 신경근자극치료 ▲ 초음파치료 ▲ 운동치료등이 있다. 적절한 물리치료 처방은 수의사가 해야 하는 부분이고 나머지는 보호자의 의지와 노력이 중요한 부분이다. 보호자가 관심을 가져주는 만큼 아이의 삶의질은 올라갈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 슬개골탈구 ▲ 디스크 ▲ 고관절질환 ▲ 십자인대 단열과 같은 개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정형,신경외과 질환이 특히 많은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하지만 우리의 노력과 보호자의 정성어린 관심만 있다면 사랑스러운 우리 반려동물의 통증은 그리 크지 않을거라고 확신한다.
[저작권자ⓒ 펫이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ET ISSUE
서울시, '2025 제2회 동물행복 페스타' 개최...10월 18~...
장현순 / 25.08.25
PET MEDICAL
청담우리동물병원 365일 진료후기(101) 강아지 식도이물제거
윤병국 수의사 / 20.02.21